2008. 7. 26. 15:00

드뷔시 바다 Debussy La Mer - Karajan

사용자 삽입 이미지



DEBUSSY LA MER - Prelude a l'apres-midi d'un faune

1. La Mer: I. De l'aube a midi sur la mer. Tres lent
2. La Mer: II. Jeux de vagues. Allegro
3. La Mer: III. Dialogue du vent et de la mer Anime et tumultueux
4. Prld a l'apres-midi d'un faune

RABEL
5. Pavane pour une Infante defunte(죽은왕녀를 위한 파반느)
6. Daphnis et Chloe: Fragments syms-2e serie(다프니스와 클로에)

La Mer - Trois exquisses symphoniques

드뷔시 '3개의 교향적 스케치' 바다

Claude Debussy 1862-1918 프랑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음악은(드뷔시의 음악들) 듣지 않는 것이 좋아.
그렇지 않으면 결국에는 거기에 익숙해져 버려 결국
(이 해괴한 음들이) 좋아지고 말 위험에 사로잡히고 말거야.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젊은 스트라빈스키에게!!

나는 태생이 뱃사람이야. 그런데 어쩌다 잘못 길을
들어서서 작곡을 하고 있는 거지.......끌로드 드뷔시

드뷔시는 바다를 사랑한 작곡가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자신의 악곡으로선 가장 대규모의 작품인 세 편의 교향시 바다
를 작곡했는데, 드뷔시 최대의 교향적 작품으로서 바다를
제재로 한 명곡 중에서도 최고 걸작의 하나입니다.

작품 개요 및 구성

교향시 <바다>는 곡의 표제에 3개의 교향적 스케치란 주석이 달려 있다. 이 곡은 그의 음악이 최고 수준에 달한 시기의 작품인데, 그의 명작 <펠레아스와 멜리장드>를 쓴 다음 해인 1903년에 시작하여 43세 때인 1905년에 완성하여 같은 해 10월, 파리에서 초연되었다.

< 바다>는 3악장으로 되어 있는데, 하나하나 그 정경을 묘사했으며, 전체를 통하여 바다의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그가 바다를 매우 좋아했다는 이야기는 퍽이나 유명하지만, 그의 생애를 통하여 바다를 건너 여행하기는 단 한 번 영국에 갔을 때 도우버 해협을 건너 여행했을 따름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는 어려서부터 바다를 즐겨 했기 때문에 여행할 때는 바닷가에 있는 일이 있었다. 말하자면 바다는 그를 매혹시켰으며 그는 바다의 힘을 느낀 나머지 열광적으로 바다를 사랑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곡은 실감에서 얻은 바다의 인상보다는 오히려 하나의 상상으로 생각한, 동경의 바다를 묘사한 것이라고 하겠다.

제1악장 : DE L'AUBE A MIDI LA MER 여명의 바다에서 한 낯의 바다

아주 느리게, b단조 4/4박자.
어두운 바다에 신비가 깃들어 있다. 이제 이 같은 바다의 새벽이 점차 밝아오는 장면부터 금빛의 해가 솟아 올라 점점 밝아오는 수평선, 빛나는 하늘, 그리고 밝은 대낮에 이르기까지를 그린 변화가 극히 미묘한 음악이다. 콘트라바스의 여린 음으로 시작되는데, 작은 물결도 일지 않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바다이다.

제2악장 : Jeux de vagues 파도의 유희

알레그로, e단조 3/4박자. 해변가에 밀려 오는 큰 물결과 작은 파도, 줄곧 즐거워만 보이는 물결의 희롱인 듯 전개되는 호탕한 바다의 그림이다. 따라서 우아하고 귀여운 음악으로 전개된다.

 
제3악장 : DIALOGUE DU VENT ET DE LA MER 바람과 바다와의 대화

활기차고 소란스럽게, f단조 2/2박자. 바다의 잔잔하고 평화로운 모습과 거센 광풍에 밀려 오는 거치른 파도, 상쾌하고 빛나는 바다, 폭풍우가 지난 평온한 바다. 이같이 바다의 여러 가지 양상이 그려져 있다. 말하자면 신비스런 대화가 우아하고도 거칠게 묘사되어 있다. 여기서 드뷔시는 그의 천품을 특색 있는 양식으로 훌륭하게 피력하였다.



Prelude a L'Aprs-Midi d'un Faune, L.86

프랑스의 상징파 시인인 말라르메의 詩에 곡을 붙인 오케스트라이다. 1894년에 완성되어 이듬해 초연에서 대 호평을 받았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머리와 몸통은 사람이고 허리 밑으로는 짐승처럼 생긴 목신의 이야기이다. 무더운 여름날의 오후 나무그늘 아래서 졸던 목신은 잠을 깬다. 그의 마음은 꿈과 현실 속에서 떠다닌다. 목신이 환상의 나래를 펴다가 환상이 사라지고 풀 위에 누워버린 목신은 풀 향기 위에서 다시 존다

교향시 <목신의 오후 전주곡>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 세기 낭만주의 음악어법을 퇴색시키고 독자적인 악곡기법을 창조해서 20세 기를 준비한 드뷔시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인상주의 음악의 창시자요, 완성자로 칭송되고 있는 드뷔시 는 1892년 스테파느 말라르메(Stephane Mallarme)의 상징시 <목신의 오후>를 음악화하려고 마음먹고, 처음 엔 전주곡, 간주곡, 종곡 등 세 개를 계획했으나 실제로는 이 전주곡만을 작곡했다.

1892 년 드뷔시가 30세 때 작곡한 이 곡은 드뷔시 관현악의 초기 작품인데, 특히 이 유니크한 전주곡이 작곡된 그 해에 그는 필생의 대작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Pelleas et Melisande)>를 처음 착상하기도 했다. 그리하여 이 곡은 전주곡 이상으로 목신의 독특한 회화적 영상을 인상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그것만으로 충분히 말라르메의 시정을 음악으로 재현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을 작곡했다면 그것은 오히려 거치장스러운 액세서리에 불과했을 듯 싶다.
30세의 드뷔시가 말라르메의 상징시 <목신의 오후>를 전주곡으로 음악화한 이 교향시에서 우리는 특히 관능적인 음악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데, 여기에선 먼저 이 곡의 충실한 감상을 돕기 위하여 말라르메의 <목신의 오후>의 테마와 분위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덥고 나른한 여름날 오후, 나무 그늘에서 졸던 목신(牧神-Faune)은 잠을 깨어 갈피리를 조용히 불면서 깊은 생각에 잠긴다. 그의 생각은 꿈과 현실을 헤매이면서, 지금 불고 있는 갈피리를 꺾은 시냇가에서 목욕하던 님프(물의 女精)들을 생각한다. 그는 이 몽상의 환영에서 사랑의 정열을 느끼고 이것을 잡으려 하지만, 님프의 환영은 곧 사라지고 그의 욕정은 한층 더 공상을 펴 가다가 마침내 사랑의 여신 비너스를 포옹하게 된다...<이 모독과 관능의 유열(愉悅)>... 이윽고 환상은 사라지고 모래 위에 비스듬히 누운 목신은 풀섶에서 다시 졸기 시작하는데, 이 때 막연한 권태가 그의 마음에 엄습해 온다.

대강 이런 줄거리의 시를 음악화한 이 곡은 이 시가 지닌 환상적인 시정을 그윽하면서도 정교하게 살려냄으로써 오늘날엔 근대 음악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악기편성은 플루트 3, 오보에 2, 잉글리시호른,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4, 심벌즈, 하프 2, 현5부의 대편성으로 되어있으나 튜티(Tutti)가 매우 적은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비관현악적으로 조차 볼 수 있는 그의 음악성 및 악곡양식을 관현악에서 충분히 가능케 한 그의 독특한 수법을 엿볼 수가 있다.

한편 관현악곡으로서 선적(線的)인 구성을 전혀 갖지 않은 이 곡은 화음조성의 깔끔한 설정과 단편적인 리듬의 모자이크, 독자적인 오케스트레이션 즉 각 악기의 음색의 강조와 짧은 교체, 하프 등의 섬세하고 오묘한 사용으로 매우 유니크한 감각을 풍겨주고 있다.

그리하여 격조 높은 화성과 뉘앙스에 가득 찬 낭만의 향기로 말미암아 폭넓은 파퓰러리티를 지닌 이 곡은 1894년 12월 프랑스 국민 음악협회의 연주회에서 초연되자 유례없는 호평을 받았다. 또한 드뷔시는 이 곡으로 인하여 확고부동한 명성을 얻었음은 물론 그의 작품도 뚜렷하게 정립되었던 것이다.

1892 년 드뷔시가 30세 때 작곡한 이 곡은 드뷔시 관현악의 초기 작품인데, 특히 이 유니크한 전주곡이 작곡된 그 해에 그는 필생의 대작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Pelleas et Melisande)>를 처음 착상하기도 했다. 그리하여 이 곡은 전주곡 이상으로 목신의 독특한 회화적 영상을 인상적으로 표현하고 있어, 그것만으로 충분히 말라르메의 시정을 음악으로 재현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을 작곡했다면 그것은 오히려 거치장스러운 액세서리에 불과했을 듯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반주 없이 나타나는 플루트의 주제는 목신이 부는 갈피리의 곡조를 모방하여 목신의 몽환적인 동경을 묘사하고 있다. 이것이 현의 트레몰로 반주를 거느리고, 재차 나타나는 동안 목신은 그 환영에 의하여 관능적인 정열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몽환의 세계에서 욕정이 솟구치는 것을 감각하게 하는 주제B가 오보에를 따라 현으로 연주된다. 특히 그 3마디째의 동기는 첫머리의 주제에 이어 여러번 사용되며 목신의 환상의 일면을 뚜렷이 부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런 주제는 소위 전개수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음화적(音畵的)인 변화, 즉 모자이크처럼 오묘하고 섬세한 변화를 지니고 재삼 나타나, 거기에 음영과 부동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곡은 이윽고 중간부 클라이맥스의 주제C에 이르는데 이 주제는 이 곡 중에서 유일하게 음악적으로 정리된 멜로디로 비너스의 환상은 물론 관능의 달콤한 유열까지 느끼게 하는 주제이다.

이 부분에서 목관의 제주(齊奏), 현의 제주로서 멜로디가 연결되며, 긴장된 낭만적인 튜티는 다른 부분에서 매우 두드러져 있다. 또한 이 부분의 조성은 D플랫장조로서 얼핏 보면 자유분방한 듯 싶으나 역시 충실한 관계조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파곳, 클라리넷, 플루트가 이를 받아 약주(弱奏)로 들려주지만 첫머리의 A주제는 다시 플루트로 나온다. 제현된 A주제는 하프의 아르페지오 위에 처음보다 단3도 높게 나타나고 더구나 리듬도 4/4박자로 바뀌었다.
 

곧 잇달아 변덕스러운 목관에 의한 삽입 주제가 번갈아 나타나면, pp의 트레몰로 반주가 지탱되어 본격적으로 원형 그대로의 A주제(=갈피리의 주제)가 들려온다. 그러다가 목신의 환상의 꿈도 사라지고 다시 처음 그대로의 울적한 정적이 다가드는데, 특히 마지막 4, 5마디의 하프의 하행 스타일과 호른의 화음이 목신의 백일몽이 걷힌 뒤에 오는 울적한 적막감을 절묘하게 나타내고 있다.

곧잇달아 변덕스러운 목관에 의한 삽입 주제가 번갈아 나타나면, pp의 트레몰로 반주가 지탱되어 본격적으로 원형 그대로의 A주제(=갈피리의 주제)가 들려온다. 그러다가 목신의 환상의 꿈도 사라지고 다시 처음 그대로의 울적한 정적이 다가드는데, 특히 마지막 4, 5마디의 하프의 하행 스타일과 호른의 화음이 목신의 백일몽이 걷힌 뒤에 오는 울적한 적막감을 절묘하게 나타내고 있다.


牧神-午後 L'Aprs-Midi d'un Faune

목축의 신 '판(Pan)'은 요정 아익스와 제우스 사이의 아들이다. 그의 상반신은 인간 모습을 하고 있으나 하반신은 동물의 몸이다. 또 이마의 양편에는 뿔이 달려 있다. 판은 산림과 들의 신이기도 하고, 또 양떼나 양치기의 신으로서 작은 동굴 속에 살며 산이나 계곡을 배회하면서 수렵을 하거나 님프들의 무용을 가르치는 일을 즐기고 있었다.

그는 음악을 좋아하고 '시링크스'라는 양치기의 풀피리를 발명한 자며, 그 자신 그것을 잘 불었다. 숲 속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될 사람들은 그를 두려워 했다. 왜냐하면 그런 장소의 어둠과 적막은 사람의 마음으로 하여금 미신적인 공포를 느끼게 했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아무런 명백한 원인이 없는 갑작스런 공포를 '판의 공포'라고 부른다.

이신의 이름인 판은 '모든'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판은 우주의 상징, 자연의 화신으로 생각되었다. 그리고 더 후세에 가서는 모든 신과 이교(異敎)의 대표로 생각하게 되었다. 실바누스와 파우누스는 로마의 신이었는데, 그들의 성격은 판의 그것과 흡사했으므로, 우리는 그들을 동일 신의 서로 다른 이름이라고 보아도 무관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숲에 사는 님프들은 판의 춤 상대자였는데, 이것은 님프들 중의 일부에 불과했다. 그 밖에 시내와 샘을 지배하는 '나이아스'라는 님프들과, 산과 동굴의 님프인 '오레이아스'와 바다의 님프인 '네레이스'가 있었다. 이 세 종류의 님프들은 영원히 죽지 않았으나, '드리아스니' 혹은 '하마드리아스'라고 부르는 숲의 님프들은 그녀들의 거주처가 되고 또 그녀들과 동시에 출생한 수목이 죽으면 따라서 죽는다고 믿어졌다. 따라서 수목을 함부로 베는 것은 경건하지 못한 행위에 속했으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중벌을 받았다.

프랑스 시인 S. 말라르메의 장편시. 《반수신(半獸身)의 오후》라고도 한다. 116행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 시는 그의 장편시 《에로디아드》와 함께 프랑스 서정시의 최고수준을 나타내는 작품이다. 《에로디아드》는 금발과 백석(白晳)의 알몸이 유동하는 냉엄한 겨울의 시인데 반하여 《목신의 오후》는 시인의 육감적 일면을 대표하는 타오르는 여름의 시이다. 즉, 들판에서 요정을 좇는 거칠면서도 순진한 반수신의 모습을 빌어 남성의 욕망이 연애의 몽상 속에서 전신승화(轉身昇華)하여 미의 추구가 되고, 음악예술 또한 지식에의 욕구로 변해가는 모습을 읊은 것이다. 처음에는 《반수신독백》이라는 제목으로 무대에서의 낭독용으로 창작되었으나 1865년 가을 코메디 프랑세즈로부터 상연을 거절당하자 순수한 서정시로 퇴고하여 《반수신 즉흥》으로 개제한 뒤 《현대고답시집》에 투고하였으나 또 거절당하였다. 그 뒤 퇴고를 거듭하여 76년 친구인 마네의 삽화를 곁들여 자비로 출판하였다.  C.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은 이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랑스 인상주의 작곡가. 생 제르맹 출생. 도자기상의 아들로 태어나 파리에서 음악교육을 받았다. 파리음악원 재학시절 그는 솔페주부문(Solfge:階名唱法)·피아노부문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졸업하면서 로마대상을 받고, 수상자로서 2년간의 로마 체류 의무를 수행하면서 관현악곡 《봄》과 합창곡 《선택 받은 소녀》를 작곡하였는데, 《선택 받은 소녀》는 1893년 파리에서 초연되어 호평을 받았다.

같은 해 겨울에 현악 4중주곡을, 이듬해 겨울에는 출세작인 관현악곡 《목신(牧神)의 오후》의 전주곡 등 걸작품을 계속 발표하였으며, 그 무렵까지의 몇 해 동안은 전에 열중했던 바그너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또한 모스크바 체재 중에 접했던 러시아음악과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등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말라르메·루이스 등 상징파 시인들과 교제하였다. 앞에서 언급된 현악 4 중주곡 및 《목신의 오후》의 전주곡에서 《빌리터스의 노래》와 피아노 모음곡 《피아노를 위하여》, 관현악을 위한 《야상곡》을 거쳐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의 완성에서 초연에 이르는 10년간(1893∼1903)은 드뷔시에게 있어서 그의 개성적인 양식이 확립된 시기에 해당된다.

이시기에 그는 바로크시대부터 낭만주의시대까지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던 기능화성법에 의한 고전적 조성을 극복하고, 자기 나름의 개성적 음색과 율동구조를 확립, <인상주의 음악>의 길을 열었으며, 1905년 이후 그의 <인상주의 음악>은 더욱 원숙해져 갔다.

이무렵 관현악곡 《바다》, 피아노곡집 《영상 1》 《영상 2》 《판화》가 작곡되었다. 그는 순수한 작곡가로서 자유롭게 작곡에만 전념하였으며, 인상주의 음악의 시조로서 근대음악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외 그의 작품에는 피아노 모음곡 《어린이의 세계》, 관현악을 위한 《영상 3》, 피아노곡집 《전주곡집 1》, 《전주곡집 2》, 가곡집 《프랑스와 비용의 시에 의한 3개의 발라드》 발레곡 《유희》, 피아노곡으로 《12개의 연습곡》 《3개의 소나타》 등이 있다.

' 드뷔시'는 1862년 8월 22일 프랑스 산 제르만 안 레이에서 태어나 1918년 3월 25일 역시 프랑스의 파리에서 56세로 세상을 떠난 프랑스의 근대 작곡가이다. 근대음악에서 맨 먼저 낭만 음악에 반기를 든 사람이 '드뷔시'이다.

이사람은 음악을 감각 적인 면에서 구성하는 이른바, 인상주의를 주장한 개척자로서, 그를 인상파 음악의 시조라고 도 한다. '드뷔시'는 일찍부터 음악에 재능을 보여 11살 때 파리 음악원에 입학을 하였고, 1884 년 22살 때에는 칸타타<방탕아>로 로마 대상을 받아 로마로 유학을 하였다. 그러나 그 앞에 약 반년 가량, 러시아의 부호이며 차이코프스키의 경제적인 후원자였던 멕크부인의 주선으로 러시아,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지를 여행하며 견문을 넓혔다.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처음 들어 본 것도 이 때이며, 그는 이 <트리스탄과 이졸데>에 열광해 버렸다. '드뷔시'에게는 로마 유학 3년이 견디기 어려운 무미건조한 생활이었던 모양으로 1887년 3년 의 시한을 채우지 못하고 2년만에 파리로 돌아왔다. '드뷔시'도 처음에는 열렬한 바그너 신봉자가 되었고, 당시의 인상주의 시인 보오드레르에 경주하였다.

또,그는 벨레느라든가 마라르메 등의 시인들과도 친교를 가져 문학적인 교양도 쌓았다. 20세기 음악 혁명의 기수인 '드뷔시'도 그의 초기의 작품 이를테면, <방탕아>라든가 피아노 곡인 <아라베스크>혹은 <베르자모 조곡> 등에는 아직 후기 낭만주의의 영향이 남아 있다. 그러나 '드뷔시'는 점차 바그너에서 멀어져서 사티의 주장에 공감하여 문학과 예술의 사조와 동조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기울어져 인상주의의 표현양식에 도달하게 된 것이다.

'드뷔시'가 후기 낭만주의 특히, 당시 음악계를 석권하고 있던 바그너주의와 손을 끊고 새로운 음악 즉, 인상주의음악을 창시한 첫 작품이 마라르메의 시에 의한<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이다.

이 관현악곡이 작곡된 것은 1892년 인데, 2년 후인 1894년 12월, 파리의 국민 음악 협회에서 초 연 되었을 때 센세이션을 일으켜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소동은 1829년 베를리오즈가 <환상교향곡>을 처음 발표할 때 이상으로 컸다고 한다.